[그래픽뉴스] 의대 정원 확대<br /><br />정부의 의대정원 확대 방침을 두고 의료계의 반발이 이어지는 가운데 전공의들의 파업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습니다.<br /><br />대화로 해결하자는 정부에 의료계가 파업 강행의지를 밝히며 맞서고 있는 가운데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의 몫이 될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오늘 그래픽 뉴스, 입니다.<br /><br />의료계 파업의 도화선이 된 건 지난달 23일 정부의 의대 입학정원 확충안 발표였습니다.<br /><br />정부가 오는 2022학년도부터 의대 입학정원을 늘려 10년간 4천 명의 의사를 추가로 양성하겠다고 밝힌 건데요.<br /><br />이 가운데 지역의사로 선발하는 3천 명은 출신 의대 소재 시도의료기관에서 10년간 의무복무하도록 했습니다.<br /><br />지역 의료기관의 의사 부족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취지입니다.<br /><br />정부가 의사 숫자를 늘리겠다는 이유는 이렇습니다.<br /><br />현재 국내의 의사 숫자는 13만명, 하지만 이 중 실제 활동하는 숫자는 10만명 정도인데요.<br /><br />이는 우리나라 인구 1천명당 의사 숫자 2.4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회원국가 중 꼴찌 수준입니다.<br /><br />그러니까 보건당국에선 OECD 평균에 다다르려면 앞으로 의사 인력이 6만명 정도가 더 필요하다고 본 겁니다.<br /><br />게다가 그나마도 부족한 의사가 대도시로 쏠리면서 경북과 충남의 경우 인구 1천 명당 의사 숫자가 서울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상황.<br /><br />때문에 정부는 의대 정원을 늘려 의사 수 확충이 시급하다는 입장인데요.<br /><br />하지만 이같은 정부의 의대 정원 확충 방안 발표에 의료계는 의료비 상승과 인구 감소, 의학 교육의 중요성을 감안하지 않은 졸속계획이라고 비판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무작정 의사 숫자만 늘릴 경우 출혈 경쟁만 격화될 거라는 겁니다.<br /><br />가장 먼저 파업에 나서는 건 전공의들로 구성된 대한전공의협의회입니다.<br /><br />내일부터 중환자실, 분만, 수술, 투석실, 응급실 등 필수인력까지 모두 포함해 전면 파업에 나서겠다고 밝혔는데요.<br /><br />전국 1만6천여 명의 전공의는 대부분 대학병원에서 수술과 진료를 보조하고 입원 환자의 상태를 점검하는 인력들이라 이들이 한꺼번에 파업할 경우 의료현장의 혼란은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또한 전공의들과 별개로 동네의원 등 개원의 위주로 구성된 대한의사협회 역시 14일 총파업을 예고한 상태입니다.<br /><br />이 때문에 '의료 대란'이 일어나는 게 아니냐는 시민들의 불안감과 함께 코로나19 대응에 대한 우려도 커지는 상황인데요.<br /><br />정부는 24시간 비상진료상황실을 운영하는 등 대책 마련에 분주합니다.<br /><br />또 막판까지 의료계와 대화로 풀어가겠다면서도 국민에게 위해 발생 시 엄정한 조치를 하겠다는 뜻을 내비쳤습니다.<br /><br />당장 전공의 파업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상황.<br /><br />정부는 이번 사태를 어떻게 풀어나갈까요?<br /><br />잠시 후 스튜디오에서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직접 만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그래픽 뉴스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